[SQL] ERD와 UML의 관계(Relationship) 차이
·
Database/basic
✔️ ERD의 관계1. 존재에 의한 관계 (존재적 관계)먼저 erd에서 말하는 '존재적 관계'는 말 그대로 '존재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관계'를 의미한다. 한 쇼핑몰의 Category에 Books, Pens, Cosmetics 등이 존재한다.Books에는 Humanity, IT, Science 등이 존재하고, Cosmetics에는 Cream, Toner, Aftershave 등이 존재한다. 이런 단순한 존재로 인하여 관계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존재적 관계라고 말한다.  2. 행위에 의한 관계 (행위적 관계)'어떤 행위를 통해서 생기는 관계'를 '행위적 관계'라고 하는데, 어떠한 행동 상태를 의미한다. Adam이라는 고객이 Books카테고리에 있는 책 한 권을 구입했다.Adam과 Books 사이에는 '구입하다..
[DB] 데이터 분류
·
Database/basic
구조화 형태로 분류 1. 정형 데이터 structured data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저장된 구조화된 데이터. 구조를 만들어 안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테이블 형태로 나타나며, 열 column은 데이터 유형에 따라 정의, 행 row은 실제 데이터를 포함한다. 특징 데이터 분석, 처리가 용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 관리, 검색이 가능 데이터 무결성 Integrity 유지 → 데이터 품질 향상 2. 반 정형 데이터 semi-structured data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일부 구조화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데이터 내용 안에 구조에 대한 설명이 함께 존재한다. 데이터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parsing 과정이 필요하다. parsing 파싱 반 정형 데이터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
[DB] 데이터베이스란?
·
Database/basic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체계적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집합. 여러 테이블로 구성되어 테이블은 필드와 레코드로 구성 된다. 필드 filed: 데이터의 속성 레코드 record: 데이터 구성 최소 단위 용어 데이터 = 자료 Data 현실 세계에서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수집한 사실이나 값 정보 Information 의사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물, 데이터보다 고차원 정보 처리 Information Processing 데이터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방법 정보 시스템 Information System 조직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고, 필요할 때 정보를 만들어주는 수단 데이터베이스 Database 정보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 필요할 때 제공 ⇒ 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