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HttpServlet에 대해
·
Framework/Spring
HttpServlethttp프로토콜에 특화된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용도  요청 Request를 처리해서 응답 Response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었다.httpServlet을 상속받은 객체는 WAS 내부에서 자동으로 객체가 생성, 관리 된다.멀티스레드에 의해 동시 실행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객체 자동 관리서블릿은 웹이라는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개발자가 직접 객체를 생성하는 대신 톰캣에서 객체를 관리한다.서블릿 관점에서 톰캣은 서블릿 컨테이너로 볼 수 있다.  처리 과정서블릿이 처리해야 하는 특정 경로 호출경로에 맞는 서블릿 클래스를 로딩하고 개체를 생성 → init()메서드 실행요청 정보를 분석해 쿼리 스트링의 파라미터를 HttpServletRequest로 전달 받는다.응답에 필요한 기능은 Http..
[Spring] Spring MVC 구조 알아보기
·
Framework/Spring
Model View Controller어플리케이션 구성 시 요소를 세가지 역할로 구분해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수정 가능한 MVC구조  Model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며,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DAO와 데이터 구조의 DO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처리하여 데이터를 가공한 뒤 뷰로 전달한다. View데이터를 별도 보관하지 않고 화면에 보여주는 자체 영역 Controller모델과 뷰 사이 다리 역할을 하는 컨트롤러는 입력에 대한 모델과 뷰의 업데이트 로직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의 요청을 받는 역할은 이 컨트롤러에서 진행된다. 각 영역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의존성이 낮아진다. 개발자 간 협업이 원활하지만, 데이터 처리가 커지면 컨트롤러가 해야 할 일이 많아져 역할 분담이 필..
[Spring] HTTP로 요청 주고 받는 방법 GET, POST
·
Framework/Spring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주고 받을 때 HTTP 프로토콜을 사용 한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이동은 요청 request라고 하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이동은 응답 response라고 한다. 서버가 응답을 보낼 때 데이터 형태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데, 정적 데이터를 전송하는 건 '웹 서버 Web Server'라고 하고 동적인 데이터를 보낼 때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eb Application Server: WAS'라고 한다.  서버에 요청을 할 때 '어떤 목적으로 정보를 요청'하는 지에 따라 GET과 POST방식으로 나뉜다. GET직접 원하는 데이터를 적거나 링크를 클릭하여 정보를 요청한다. 주로 특정한 정보를 조회하는 용도로 GET을 사용하며 URL 뒤에 값을 적기 때문에 정보 노출에 위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