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UI를 디자인할 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기존의 자바 코드 사용
- 안드로이드 선호 방법 XML 사용
자바 코드를 사용할 수 있음에도 XML을 사용하는 이유는
애플리케이션의 외관과 로직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고, 빠르게 UI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용어
요소 element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가 있는 논리적인 구성 요소
속성 attribute
요소의 속성으로 "이름=값" 쌍으로 구성
<img src="madonna.jpg" alt='by Raphael'/>
<!-- img 요소는 src와 alt 2개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
주요 속성
각 요소마다 각자 사용할 수 있는 속성도 있지만 주로 사용하는 주요 속성은 아래와 같다.
xmlns: android
안드로이드 이름 공간에 정의된 속성을 참고하려고 하는 것 암시
XML파일에서 항상 최외곽 태그는 이 속성을 정의
android:id
요소의 유일한 아이디 할당
해당 아이디로 소스 코드에서 참조 가능
android:layout_width
화면에서 너비를 정의
"match_parent"는 부모 화면 폭을 다 차지 하는 것
android:layout_height
화면에서 높이를 정의
"wrap_content"는 콘텐츠를 표시할 정도만 차지
"match_parent"와 "wrap_content"는 width와 height에서 모두 사용 가능
필요한 것에 따라 선택하거나 pt, dp 등을 이용해 크기 직접 지정도 가능
android:text
화면에서 표시하는 텍스트 설정
<TextView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id="@+id/textview"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text="Hello, world!" />
<!-- Hello, world! 라는 텍스트를 너비를 부모만큼, 높이를 콘텐츠만큼 지정 -->
각 태그 요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직접 만들어보면서 익히는 것이 가장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