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널리 잘 알려진 자료구조 중 최소 힙이 있다. 최소 힙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배열에 자연수 x를 넣는다.
- 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한다.
프로그램은 처음에 비어있는 배열에서 시작하게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연산의 개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연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x가 주어진다. 만약 x가 자연수라면 배열에 x라는 값을 넣는(추가하는) 연산이고, x가 0이라면 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하는 경우이다. x는 231보다 작은 자연수 또는 0이고, 음의 정수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출력
입력에서 0이 주어진 횟수만큼 답을 출력한다. 만약 배열이 비어 있는 경우인데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라고 한 경우에는 0을 출력하면 된다.
먼저 최소 힙은 힙(Heap)을 이용해 수가 작은 것부터 정렬시키는 알고리즘이다. 우선순위 큐는 보통 힙정렬을 통해 구현된다. 자바의 PriorityQueue를 이용해 작은 수부터 정렬시켜 출력시키는 방법을 선택했다.
import java.util.PriorityQueue;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_1927 {
static int N;
static PriorityQueue pQ = new PriorityQueu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N = scanner.nextInt();
for (int i = 0; i < N; i++) {
int x = scanner.nextInt();
if(x == 0){
if(pQ.isEmpty())
System.out.println(0);
else{
System.out.println(pQ.peek());
pQ.remove(pQ.peek());
}
}
else{
pQ.add(x);
}
}
}
}
# 1.
N은 입력받을 연산의 개수이다. Scanner를 이용해 N에 입력을 받고, N만큼 반복하여 x를 입력받는다.
# 2.
입력받은 x를 비교한다. 만약 x가 0이라면 큐에 삽입된 수 중 가장 작은 수를 출력하고, 비어있으면 0을 출력한다. isEmpty()를 통해 큐가 비어있는지 검사하고 출력된 후는 큐에서 삭제시킨다. 0이 아니라면 큐에 값을 삽입한다.
'CodingTest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260번 DFS와 BFS - 자바, 인접리스트 이용 (0) | 2023.07.30 |
---|---|
[백준] 1931번 회의실 배정 (Greedy) (0) | 2023.07.29 |
[백준] 1158번 요세푸스 문제 - 자바 Queue 사용 (0) | 2023.07.26 |
[백준] 10828번 스택 - 자바 문제 풀이 (Stack, List) (0) | 2023.07.24 |
[백준] 1991번 트리 순회 - 자바로 트리 구현 (0) | 2023.07.06 |